장성시절 처음 꽃을 보곤 해마다 사는 부레옥잠
봄에 겨우 천원짜리 열개 사 수곽 두 개에 던져 놓으면 꽤 오래 꽃이 피었다 지었다..
오래 비웠던 지라 기대하지 않았은데 어제 오늘은 저리 화려한 모습이다.
끝물이라 한 개 간신히 필까말까하더니 제대로다
햇살에 비친 모습이 예뻐 하루종일 보고 또 본다
참 곱기도하구나
연꽃처럼 내일이면 볼 수 없기에 더 고와보이는 지 모르겠다만..
작년 이 곳에서의 추석선물은 뱀이었는데 ㅎㅎ
사야야 명절이 의미없어진 지 이미 오래고 설사 의미가 있다 하더라도 자식이 왜 죽었는 지도 모르는 유족들만 하겠냐
아직 팽목항에 계신 분들 사연을 읽다가 또 울컥
산다는게 뭔지 아무리 힘들었어도 몇달간 세월호 소식은 눈에 불을 켜고 주시했었는데 막상 본인이 극단적 상황에 처하게되니 아무래도 무심하게 되더라
비약하고 싶진 않고 지금 사야 상황이랑 큰 관련은 없다만 이래서 그들은 그렇게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을 극단으로 내 모는 지도 모르겠다
사실 하루하루를 살아내는 게 벅찬 인간들에게 정의는 물론 타인의 억울한 죽음따위가 뭐 대수이겠는가
안그래도 가질 수 없는 걸 원하게 만들고 정작은 원하는 게 뭔지도 모르는 이 너덜너덜해진 사회에서 말이다
이 분노를 부르는 사회에 산다는 게 참 구차했는 데 분노도 구차도 살아있으니 느끼는 감정.
사야에겐 왜 살아있다는 사실이 늘 이렇게 가슴 벅차게 감동적인 일인지 모르겠다
그 살아있는 모양새와 아무 상관없이 말이다
멋있게가 아니라 더 비참해지고 더 구차해지더라도 사야는 살고싶다
바란다면 조금만 덜 외로왔으면 좋겠는데 살아보니 그 무엇보다 그게 가장 어렵다
'7. 따뜻한 은신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몬산다 (0) | 2014.09.12 |
---|---|
고맙고 아픈 존재들 (0) | 2014.09.11 |
커피를 마시는 시간 (0) | 2014.09.10 |
눈부신 아침 (0) | 2014.09.10 |
산너머 산 (0) | 2014.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