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그리고 밀란 쿤데라
이강인 선수가 파리 생제르맹으로 이적하니 축구팬들이 신났다
유니폼 구입은 물론 파리로 경기를 보러 가겠다고 난리들이던데 그중 사야가 기함할만한 글을 봤다
파리에 가보려고 하는데 정말 쥐가 들끓고 오줌냄새가 진동하냐고 묻더라
거기에는 그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어쩌고 하는 댓글들이 줄줄이 달리고
아 요즘 젊은이들에게 파리는 그런 곳이구나
사야에게 파리는 낭만 그 자체 거의 꿈의 도시였는데 말이다
오래전에 쓴 적도 있지만 육 개월 정도 파리에서 머물면서 오전에는 어학원에 다니고 오후에는 미술관을 돌아다니는 것이 한때 사야의 로망이었다
갈 때마다 늘 설렜고 뒤셀도르프가 독일의 작은 파리라는 별칭이 있다는 걸 알았을 때는 괜시리 자부심도 느꼈었다
그 파리에서 쿤데라가 세상을 떠났단다
한참 동유럽 문화가 밀려올 때 처음 접했던 체코작가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이라는 범상치 않던 제목
그리고 유고출신 에밀 쿠스트라차의 영화
소설도 영화도 다 이해했다고 할 수는 없었지만 낯설고 신선하고 신비롭기까지 한 그 독특한 분위기에 젊은 사야는 열광했더랬다
프라하의 봄이라고 제목을 달고 나온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영화도 너무 좋았고 그 속의 요제프 쿠델카의 사진도 너무 좋아 사진집도 소장하고 있다
쿤데라가 조국에 외면당하고 프랑스어로 집필을 한다는 소식은 외국어로 고통받던 사야에게 적잖은 충격이었다
논문 같은 게 아니라 소설도 외국어로 쓰는 게 가능한 거구나 하는 경이로움이었달까
근데 지금 생각해 보니 언어도 포기해야 했을까 하는 궁금증이 생기네
한나 아렌트의 인터뷰를 보면 독일인이 잘못이지 독일어가 잘못한 건 아니지 않냐고 하던데 말이다
사야야 어차피 프랑스어도 모르고 번역된 걸 읽어도 그 차이를 느낄 수 없어 언어가 바뀌어 그의 소설이 바뀌었다는 느낌은 못 받았었다
하긴 그마저도 세월이 너무 흘러 흐릿한 기억만 남아있지만 어쨌든 그의 소설들이 좋았다
말년에 국적을 회복했던데 그에게 조국은 또 모국어는 어떤 의미였을까 그리고 사야는 왜 그게 궁금할까
밀란 쿤데라 그의 명복을 빈다
그의 책들을 다시 읽어보고 싶다